- 그럼에도 말씀에 희망을 둡니다 (시 119:81-96)
- 김영균 2025.5.6 조회 9
-
[성경본문] 시편119 : 81 - 96 | 개역개정
- 81. 나의 영혼이 주의 구원을 사모하기에 피곤하오나 나는 주의 말씀을 바라나이다
- 82. 나의 말이 주께서 언제나 나를 안위하실까 하면서 내 눈이 주의 말씀을 바라기에 피곤하니이다
- 83. 내가 연기 속의 가죽 부대 같이 되었으나 주의 율례들을 잊지 아니하나이다
- 84. 주의 종의 날이 얼마나 되나이까 나를 핍박하는 자들을 주께서 언제나 심판하시리이까
- 85. 주의 법을 따르지 아니하는 교만한 자들이 나를 해하려고 웅덩이를 팠나이다
- 86. 주의 모든 계명들은 신실하니이다 그들이 이유 없이 나를 핍박하오니 나를 도우소서
- 87. 그들이 나를 세상에서 거의 멸하였으나 나는 주의 법도들을 버리지 아니하였사오니
- 88. 주의 인자하심을 따라 나를 살아나게 하소서 그리하시면 주의 입의 교훈들을 내가 지키리이다
- 89. 여호와여 주의 말씀은 영원히 하늘에 굳게 섰사오며
- 90. 주의 성실하심은 대대에 이르나이다 주께서 땅을 세우셨으므로 땅이 항상 있사오니
- 91. 천지가 주의 규례들대로 오늘까지 있음은 만물이 주의 종이 된 까닭이니이다
- 92. 주의 법이 나의 즐거움이 되지 아니하였더면 내가 내 고난 중에 멸망하였으리이다
- 93. 내가 주의 법도들을 영원히 잊지 아니하오니 주께서 이것들 때문에 나를 살게 하심이니이다
- 94. 나는 주의 것이오니 나를 구원하소서 내가 주의 법도들만을 찾았나이다
- 95. 악인들이 나를 멸하려고 엿보오나 나는 주의 증거들만을 생각하겠나이다
- 96. 내가 보니 모든 완전한 것이 다 끝이 있어도 주의 계명들은 심히 넓으니이다
사람이 어려움을 겪게 되다 보면 자기도 모르게 약해집니다. 할 수 없는 일들을 겪게 되고 그런 상황이 기약없이 흐르게 될 때의 심정은 당한 사람만 알 것입니다. 그 고통을 말로 표현하기도 힘들지만 당사자가 아니면 말해도 공감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본문에서 그런 사람을 만납니다. 이 사람은 믿음의 길만 걷고 싶어합니다. 오직 하나님의 말씀대로 살고 싶어합니다. 그래서 자신이 말씀대로 살고 있는 지를 늘 확인하는 사람입니다. 그런데 세상은 그렇게 살아가는 삶의 방식에 대해 호감도 없을 뿐더러 배타적입니다. 그렇게 까다롭게 따지다가 어떻게 험한 세상을 살 수 있겠냐면서 투덜거리면서 조롱합니다. 하지만 시인은 치우치지 않습니다. 시인이 살아가는 방법을 살펴 봅니다.
겸손하게 사는 것입니다~ 어렵게 되면 육신의 고통 뿐만 아니라 덤으로 찾아오게 되는 고통 중 하나가 관계의 고통입니다. 온 세상 모든 사람들이 갑자기 애정(?)을 가지고 다가오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들었습니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지쳐 버립니다. 하지만 들어야 삽니다. 말해주는 사람이 누구든지, 무엇을 말하든지 고맙게 여길 수 있게 되면 투병할 수 있는 힘이 생긴 증거입니다. 어려움에서 벗어나기 시작하는 전환점은 낮아지고 낮아져서 겸손해진 바로 그 때가 될 것입니다.기다리고 또 기다립니다~ ‘나의 구원이 주의 구원을 사모하기에 피곤하오니 나는 주의 말씀을 바라나이다(81)’라는 말씀은 하나님께 기도하고 응답을 기다리다가 지쳤다는 뜻입니다. ‘내가 연기 속의 가죽 부대같이 되었으나 주의 율례들을 잊지 아니하나이다(83)’라는 말씀은 몸 상태가 매우 심각해졌지만 그래도 하나님께서 응답해 주심을 믿는다는 뜻입니다. 이유없이 괴롭게 하는 이들의 감당하기가 벅찰 정도의 강력한 힘 앞에서도 굴복하지 않고 하나님의 법도를 붙잡는 것(86)이 기다림이란 것을 증명했습니다.하나님의 주권을 확신했습니다~ 온 세상의 모든 만물들이 다 주님의 것이고 항상 있는 것처럼(90), ‘나도 주의 것(94)’이기에 염려하지 않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세상의 주권자처럼 행세하는 악인들을 보면 피가 거꾸로 솟기도 하지만, 나는 주의 법도들 만을 찾겠다고 선언합니다(94). 이유 없이 싫어하는 사람들에 대해서 예민하게 반응하는 속마음은 사실이지만 주님의 증거들 만을 생각하겠다고 다짐합니다(95).잘난척 하지도 않았고, 자기 생각 만을 주장하는 완고한 고집쟁이로 살지 않았어도 시인은 혼자처럼 되어 버렸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타협하거나 자기 삶의 기준을 낮추지 않겠다고 선언합니다. 생명의 길은 많은 사람들이 찾는 넓은 길이 아니고 좁은 길입니다.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