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촌새힘교회

전체 메뉴 바로가기 로그인 바로가기

매일양식

이전 페이지 이동 홈 화면 바로가기
잔치와 수치 (에 1:1-22)
김영균 2025.5.12 조회 6

[성경본문] 에스더1 : 1 - 22 | 개역개정

  • 1. 이 일은 아하수에로 왕 때에 있었던 일이니 아하수에로는 인도로부터 구스까지 백이십칠 지방을 다스리는 왕이라
  • 2. 당시에 아하수에로 왕이 수산 궁에서 즉위하고
  • 3. 왕위에 있은 지 제삼년에 그의 모든 지방관과 신하들을 위하여 잔치를 베푸니 바사와 메대의 장수와 각 지방의 귀족과 지방관들이 다 왕 앞에 있는지라
  • 4. 왕이 여러 날 곧 백팔십 일 동안에 그의 영화로운 나라의 부함과 위엄의 혁혁함을 나타내니라
  • 5. 이 날이 지나매 왕이 또 도성 수산에 있는 귀천간의 백성을 위하여 왕궁 후원 뜰에서 칠 일 동안 잔치를 베풀새
  • 6. 백색, 녹색, 청색 휘장을 자색 가는 베 줄로 대리석 기둥 은고리에 매고 금과 은으로 만든 걸상을 화반석, 백석, 운모석, 흑석을 깐 땅에 진설하고
  • 7. 금 잔으로 마시게 하니 잔의 모양이 각기 다르고 왕이 풍부하였으므로 어주가 한이 없으며
  • 8. 마시는 것도 법도가 있어 사람으로 억지로 하지 않게 하니 이는 왕이 모든 궁내 관리에게 명령하여 각 사람이 마음대로 하게 함이더라
  • 9. 왕후 와스디도 아하수에로 왕궁에서 여인들을 위하여 잔치를 베푸니라
  • 10. 제칠일에 왕이 주흥이 일어나서 어전 내시 므후만과 비스다와 하르보나와 빅다와 아박다와 세달과 가르가스 일곱 사람을 명령하여
  • 11. 왕후 와스디를 청하여 왕후의 관을 정제하고 왕 앞으로 나아오게 하여 그의 아리따움을 뭇 백성과 지방관들에게 보이게 하라 하니 이는 왕후의 용모가 보기에 좋음이라
  • 12. 그러나 왕후 와스디는 내시가 전하는 왕명을 따르기를 싫어하니 왕이 진노하여 마음속이 불 붙는 듯하더라
  • 13. 왕이 사례를 아는 현자들에게 묻되 (왕이 규례와 법률을 아는 자에게 묻는 전례가 있는데
  • 14. 그 때에 왕에게 가까이 하여 왕의 기색을 살피며 나라 첫 자리에 앉은 자는 바사와 메대의 일곱 지방관 곧 가르스나와 세달과 아드마다와 다시스와 메레스와 마르스나와 므무간이라)
  • 15. 왕후 와스디가 내시가 전하는 아하수에로 왕의 명령을 따르지 아니하니 규례대로 하면 어떻게 처치할까
  • 16. 므무간이 왕과 지방관 앞에서 대답하여 이르되 왕후 와스디가 왕에게만 잘못했을 뿐 아니라 아하수에로 왕의 각 지방의 관리들과 뭇 백성에게도 잘못하였나이다
  • 17. 아하수에로 왕이 명령하여 왕후 와스디를 청하여도 오지 아니하였다 하는 왕후의 행위의 소문이 모든 여인들에게 전파되면 그들도 그들의 남편을 멸시할 것인즉
  • 18. 오늘이라도 바사와 메대의 귀부인들이 왕후의 행위를 듣고 왕의 모든 지방관들에게 그렇게 말하리니 멸시와 분노가 많이 일어나리이다
  • 19. 왕이 만일 좋게 여기실진대 와스디가 다시는 왕 앞에 오지 못하게 하는 조서를 내리되 바사와 메대의 법률에 기록하여 변개함이 없게 하고 그 왕후의 자리를 그보다 나은 사람에게 주소서
  • 20. 왕의 조서가 이 광대한 전국에 반포되면 귀천을 막론하고 모든 여인들이 그들의 남편을 존경하리이다 하니라
  • 21. 왕과 지방관들이 그 말을 옳게 여긴지라 왕이 므무간의 말대로 행하여
  • 22. 각 지방 각 백성의 문자와 언어로 모든 지방에 조서를 내려 이르기를 남편이 자기의 집을 주관하게 하고 자기 민족의 언어로 말하게 하라 하였더라

페르시아(바사)제국에서 일어난 사건입니다. 왕이 된 후 3년 째에 아아하수에로왕은 자기 나라와 권력의 위용을 뽐내려고 큰 잔치를 베풀었습니다(4). 그러나 왕후 와스디가 왕의 요구를 거절하게 됩니다(12). 부부간의 문제라고 넘길 수도 있었지만 결국에는 왕후는 폐위되고 ‘남성법’이 만들어집니다(22). 본문을 요약합니다.


천하를 호령하는 왕의 기세
~ 평생을 투자해도 다 가볼 수 없을 만큼의 영토를 가진 왕이었습니다(1). 기라성 같은 조력자들(부하들)이 기본적으로 일백이십칠명 이상이었습니다. '인도로부터 구스까지 백이십칠 지방을 다스리는 왕(1)'이었던 것입니다. 왕이 된 후 '백팔십일 만에 나라를 강력하게 통치할 만큼의 지도력을 가진 왕(4)'이었습니다. 그가 치루고 있는 수산궁에서의 칠일 잔치도 특별했습니다. '술을 마시되 강요하지 않는 법'을 지키는 잔치였습니다. 여성들은 왕후 와스디를 중심으로 다른 곳에서 잔치하게 했습니다(9).

왕의 명령을 거부하는 왕후
~ 술 때문이었습니다. '제 칠일에 왕이 주흥이 일어나서 어전 내시 므후반과 비스다와 하르보나와 빅다와 아박다와 세달과 가르가스 일곱 사람을 명령하여 왕후 와스디를 청하여 왕후의 관을 정제하고 왕 앞으로 나아오게 하여 그의 아리따움을 뭇 백성과 지방관들에게 보이게 하라 하니 이는 왕후의 용모가 보기에 좋음이라(10,11)'. 그러나 그런 왕의 초청을 왕후는 거부했습니다. 술김에 저질러진 일이었지만 왕은 왕후의 예상 밖의 반응에 당황했을 것입니다. 그리고 '진노하여 마음속이 불 붙는 듯하게 되었던 것(12)'입니다. 권력자가 분노하여 얼굴이 벌겋게 달아 올라 길길이 날뛰게 될 때 그 주변이 어떻게 되었을지는 안 봐도 비디오가 아닐까요.

스스로 답을 찾지 못하는 왕의 한계
~ 왕은 사례를 아는 현자들에게 자문을 구합니다(13). 그들은 '왕의 기색을 살피다가' 이 사건이 왕에게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에 대해 보고하고, 이후 나라 전체가 받게 될 영향을 보고했습니다. 부부 문제가 정치화된 것입니다. 어떤 법에 근거한 분석이 아니고 여론이 부정적인 결과를 낳게 될 것이라며 왕을 설득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그들의 분석은 '왕이 왕후에게 무시를 당한 것이며, 이번의 이 일은 왕에게만 잘못한 것이 아니라 각 지방의 관리들과 뭇 백성에게도 잘못한 것(16)'이라며 부정적인 방향으로 확대시켰습니다. '여자는 그래도 되는가보다'라는 좋지 않은 풍토가 자리잡게 될 것(17)이라는 염려를 확대시켰습니다.

‘남성위주의 법’이 그렇게 만들어졌습니다. 분명한 것은 지금도 법은 만들어집니다. 다행스럽게도 그 법을 만들 자격자들이 우리 자신들이란 것입니다.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과 의로움이 삶의 기초가 되는 세상이 되기를 기도합시다. 

댓글 0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