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견디고 있는 일들 속에서 (살후 1:1-12) | 김영균 | 2025-09-07 | |||
|
|||||
[성경본문] 데살로니가후서1:1-12절 개역개정1. 바울과 실루아노와 디모데는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데살로니가인의 교회에 편지하노니 2. 하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을지어다 3. 형제들아 우리가 너희를 위하여 항상 하나님께 감사할지니 이것이 당연함은 너희의 믿음이 더욱 자라고 너희가 다 각기 서로 사랑 4. 그러므로 너희가 견디고 있는 모든 박해와 환난 중에서 너희 인내와 믿음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여러 교회에서 우리가 친히 자랑하노라 5. 이는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의 표요 너희로 하여금 하나님의 나라에 합당한 자로 여김을 받게 하려 함이니 그 나라를 위하여 너희가 또한 고난을 받느니라 6. 너희로 환난을 받게 하는 자들에게는 환난으로 갚으시고 7. 환난을 받는 너희에게는 우리와 함께 안식으로 갚으시는 것이 하나님의 공의시니 주 예수께서 자기의 능력의 천사들과 함께 하늘로부터 불꽃 가운데에 나타나실 때에 8. 하나님을 모르는 자들과 우리 주 예수의 복음에 복종하지 않는 자들에게 형벌을 내리시리니 9. 이런 자들은 주의 얼굴과 그의 힘의 영광을 떠나 영원한 멸망의 형벌을 받으리로다 10. 그 날에 그가 강림하사 그의 성도들에게서 영광을 받으시고 모든 믿는 자들에게서 놀랍게 여김을 얻으시리니 이는 (우리의 증거가 너희에게 믿어졌음이라) 11. 이러므로 우리도 항상 너희를 위하여 기도함은 우리 하나님이 너희를 그 부르심에 합당한 자로 여기시고 모든 선을 기뻐함과 믿음의 역사를 능력으로 이루게 하시고 12. 우리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대로 우리 주 예수의 이름이 너희 가운데서 영광을 받으시고 너희도 그 안에서 영광을 받게 하려 함이라 바울 사도는 데살로니가 교회에 두 번째 편지를 보냈습니다. 이미 첫 번째 편지(살전3:10)에서 약속했었습니다. ‘믿음이 부족하면 보충하겠다’라고. 그래서 반복하듯이 두 번째 편지를 보낸 것입니다. 같은 사람들에게 두 번째 편지를 보냈다는 것은 ‘알지만...알고는 있을 수 있지만... 안되는 것들’이 있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래서 두 번째 편지와 더불어 몇가지를 묵상합니다. 믿음이 자란다는 것입니다 ~ 고난은 무너뜨릴 수 있지만 믿음을 가진 자들은 성장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고난은 현실이지만 감사한 것은 데살로니가 교회가 성장하며 성도들도 믿음이 더 자라는데, 서로 사랑함이 풍성해지는 것이 그 증거라는 것입니다(3). 바울은 그런 성장하는 변화를 여러 교회에서 자랑했습니다(4). 인정되고 있습니다 ~ ‘하나님께서 데살로니가 교회의 성도들을 하나님의 나라에 합당한 자로 여기신다(5)’는 표현은 ‘듬직하게 여기신다’는 뜻입니다. 고난이 없으면 좋겠지만 피할 수 없는 고난이라면 감당하게 됩니다. 놀라운 것은 성도들에게는 어떤 고난이든지 끝이 아니고 알차게 되고 단단해지게 됩니다. 고난을 이겨내면서 하나님의 일을 잘 감당하기에 합당하게 됩니다. 모든 선을 기뻐함과 믿음의 역사를 능력으로 이루게 하시는(11) 듬직한 일군이 됩니다. 하나님을 닮아 갑니다 ~ 하나님은 언제나 공의로우십니다(7). 그것이 세상과 다릅니다. 세상은 원하는 결과를 만들려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습니다. 원하는 대로 할 수 있다면 그것이 선이라고 믿어버립니다. 그래서 그런 자기들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으려고, 감추고 포장합니다. 하지만 성도들은 ‘공의’의 하나님만 닮아갑니다. 하나님의 공의 앞에는 해서는 안되는 일들도 있습니다. 그래서 ‘아닌 것은 아니라’고 해야 됩니다. 데살로니가 성도들은 고난을 겪으면서 세상에 대해 ‘아니오’라면서 공의를 지켰습니다. 바울 사도의 삶은 모르면 배우고, 모자라면 채우고, 잘못된 것이면 고치는 것입니다. 부끄러움이란 배우지 않으려는 것이며 알면서도 돌이키지 않으려는 옛사람이라고 믿었던 것입니다. 그런 자기 자신의 삶을 데살로니가 교회를 향해서 나누게 된 것이 두 번째 편지였던 것입니다. 데살로니가 교회의 성도들은 그런 바울의 진정성을 알기에 두 번째 편지를 통해 아름답게 성장했을 것입니다.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