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말의 생활방식 (살전 5:12-28) | 김영균 | 2025-09-06 | |||
|
|||||
[성경본문] 데살로니가전서5:12-28절 개역개정12. 형제들아 우리가 너희에게 구하노니 너희 가운데서 수고하고 주 안에서 너희를 다스리며 권하는 자들을 너희가 알고 13. 그들의 역사로 말미암아 사랑 안에서 가장 귀히 여기며 너희끼리 화목하라 14. 또 형제들아 너희를 권면하노니 게으른 자들을 권계하며 마음이 약한 자들을 격려하고 힘이 없는 자들을 붙들어 주며 모든 사람에게 오래 참으라 15. 삼가 누가 누구에게든지 악으로 악을 갚지 말게 하고 서로 대하든지 모든 사람을 대하든지 항상 선을 따르라 16. 항상 기뻐하라 17. 쉬지 말고 기도하라 18. 범사에 감사하라 이것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 19. 성령을 소멸하지 말며 20. 예언을 멸시하지 말고 21. 범사에 헤아려 좋은 것을 취하고 22. 악은 어떤 모양이라도 버리라 23. 평강의 하나님이 친히 너희를 온전히 거룩하게 하시고 또 너희의 온 영과 혼과 몸이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강림하실 때에 흠 없게 보전되기를 원하노라 24. 너희를 부르시는 이는 미쁘시니 그가 또한 이루시리라 25. 형제들아 우리를 위하여 기도하라 26. 거룩하게 입맞춤으로 모든 형제에게 문안하라 27. 내가 주를 힘입어 너희를 명하노니 모든 형제에게 이 편지를 읽어 주라 28.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가 너희에게 있을지어다 본 편지의 마무리에서 바울은 하나님의 크신 은혜에 대해 언급합니다. ‘너희를 부르시는 이는 미쁘시니 그가 또한 이루시리라(24)’라고 한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데살로니가 교회를 멋지고 아름답고 성숙한 ‘믿음의 공동체’가 되게 하신다는 뜻입니다. ‘내가 주를 힘입어 너희를 명하노니 모든 형제에게 이 편지를 읽어주라(27)’며 모두가 함께 ‘건강한 믿음의 공동체’를 세우자는 그 공동체는 어떤 공동체입니까. 예절 공동체입니다 ~ 이 공동체의 특징은 ‘알아주고’, ‘사랑 안에서’, ‘가장 귀히 여기고’, ‘화목’하는 등의 공동체였습니다(12,13). 다시 말해서 ‘예절’을 갖추어가는 모임이란 것입니다. ‘예절’이란 ‘존경의 뜻을 표하는 방법으로 말투와 몸가짐으로 하는 행동들’이란 뜻입니다. ‘예절’이란 말의 개념은 동양적 으로는 ‘서열존중’의 뜻이고, 서양은 ‘상호존중’의 의미를 내포합니다. 누군가 특별하게 여김을 받았다면, 그런 삶을 비난하거나 배척하거나 경계할것이 아니라, ‘공동체가 이루어야 할 목표로 삼고 힘써 섬기자’라는 것이 ‘예절’이란 것입니다. ‘처음된 자가 나중되고 나중된 자가 처음이 된다’라면서 ‘섬기는 예절’을 가르쳐 주신 주님의 말씀을 이루는 공동체가 되라는 것입니다. 더불어 공동체입니다 ~ 어떤 사람도 배척되지 않는 곳을 목표하는 공동체를 이루어 가자는 것입니다. 물론 이 공동체에서는 ‘권면’과 ‘권계’ 그리고 ‘격려’, ‘붙들어 줌‘, ’오래 참는 것‘들이 나타나게 됩니다(14). 다시 말하면 생활정도와 의식과 삶의 방법이 달라도 한참 다르지만, 다름은 틀림이 아니라면서 함께 하라는 것입니다. ’악으로 악을 갚는 방법은 경계해야(15)‘입니다. 모든 사람이든지 피차 대하든지 ’항상 선을 따르는 신기한 공동체‘가 되어가는 것이 데살로니가 교회의 목표라는 것입니다. ’예절‘을 지키지 않으면 불편하고, 다른 사람을 사랑하고 존중하게 되면 평안함을 누릴 수 있는 공동체가 목표하는 것입니다. 이 공동체는 기준이 분명합니다 ~ 세 가지의 분명한 기준이 있습니다. 첫째가 ‘항상 기뻐하는 것’(16)입니다. 불평할 것들, 불만족스러운 환경, 불편함, 원망할 일들이 분명히 존재하겠지만 그런 고난과 역경속에서도 ‘기뻐해야 하는 것’입니다. 다음으로는 ‘쉬지말고 기도하는 삶’입니다(17). 하나님보다 앞서지 말라는 뜻입니다. ‘답답함, 낙심할 일, 절박한 경우들’등의 일들 앞에서 ‘허둥거리거나, 조급해 하지 말고’ 하나님의 손으로 옮겨가는 믿음의 삶으로 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범사에 감사’합니다(18). ‘의지적으로 감사함을 이룰 수 있는 삶’이 성숙함입니다. 아마 이런 바울의 당부는 당시로서는 매우 파격적이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루어졌기에 오늘 우리는 이 성경을 읽을 수 있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믿는 이들의 공동체는 ‘또 하나의 모임’이 아닙니다. ‘하나님의 나라와 그 의를 이루어 내는 공동체’입니다. ‘최고의 섬김’이 있는 공동체요, ‘최고의 섬김을 이룰만한 성품으로 성장’하는 공동체라는 것을 증명해 내어야 하는 것은 우리들 몫입니다.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