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양식

  • 홈 >
  • 매일양식 >
  • 매일양식
매일양식
우리는 깨어 오늘을 살고 (살전 4:13-5:11) 김영균 2025-09-05
  • 추천 0
  • 댓글 0
  • 조회 7

http://sahim.onmam.com/bbs/bbsView/107/6558123

[성경본문] 데살로니가전서4:13-18절 개역개정

13. 형제들아 자는 자들에 관하여는 너희가 알지 못함을 우리가 원하지 아니하노니 이는 소망 없는 다른 이와 같이 슬퍼하지 않게 하

14. 우리가 예수께서 죽으셨다가 다시 살아나심을 믿을진대 이와 같이 예수 안에서 자는 자들도 하나님이 그와 함께 데리고 오시리라

15. 우리가 주의 말씀으로 너희에게 이것을 말하노니 주께서 강림하실 때까지 우리 살아 남아 있는 자도 자는 자보다 결코 앞서지 못하리라

16. 주께서 호령과 천사장의 소리와 하나님의 나팔 소리로 친히 하늘로부터 강림하시리니 그리스도 안에서 죽은 자들이 먼저 일어나고

17. 그 후에 우리 살아 남은 자들도 그들과 함께 구름 속으로 끌어 올려 공중에서 주를 영접하게 하시리니 그리하여 우리가 항상 주와 함께 있으리라

18. 그러므로 이러한 말로 서로 위로하라

제공: 대한성서공회

[성경본문] 데살로니가전서5:1-11절 개역개정

1. 형제들아 때와 시기에 관하여는 너희에게 쓸 것이 없음은

2. 주의 날이 밤에 도둑 같이 이를 줄을 너희 자신이 자세히 알기 때문이라

3. 그들이 평안하다, 안전하다 할 그 때에 임신한 여자에게 해산의 고통이 이름과 같이 멸망이 갑자기 그들에게 이르리니 결코 피하지 못하리라

4. 형제들아 너희는 어둠에 있지 아니하매 그 날이 도둑 같이 너희에게 임하지 못하리니

5. 너희는 다 빛의 아들이요 낮의 아들이라 우리가 밤이나 어둠에 속하지 아니하나니

6. 그러므로 우리는 다른 이들과 같이 자지 말고 오직 깨어 정신을 차릴지라

7. 자는 자들은 밤에 자고 취하는 자들은 밤에 취하되

8. 우리는 낮에 속하였으니 정신을 차리고 믿음과 사랑의 호심경을 붙이고 구원의 소망의 투구를 쓰자

9. 하나님이 우리를 세우심은 노하심에 이르게 하심이 아니요 오직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게 하심이라

10. 예수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사 우리로 하여금 깨어 있든지 자든지 자기와 함께 살게 하려 하셨느니라

11. 그러므로 피차 권면하고 서로 덕을 세우기를 너희가 하는 것 같이 하라

제공: 대한성서공회

본문은 데살로니가 교회가 안고 있는 문제였던 죽은 성도의 앞날에 대해 가르친 말씀입니다. 그리고 홀연히 임하시게 될 주의 날을 대비하는 삶을 가르쳤습니다. 어떻게 살아 가라는 것입니까.


소망하는 삶으로 사는 것입니다
~ 예수께서 재림하심을 믿는 것은 소망하는 일이라고 가르쳤습니다(13). ‘자는 자들’이라는 표현은 ‘죽은 자들’이라는 뜻입니다. 예수께서 재림하실 때 ‘주 안에서 자는 자들’도 데리고 오신다고 가르쳤습니다(14). ‘호령과 천사장의 소리와 하나님의 나팔 소리로 친히 하늘로부터 강림하신다(16)’고 가르쳤습니다. 은밀하게 오시는 것이 아니라 온 세상 모두가 알 수밖에 없는 모습으로 오신다는 것을 가르친 것입니다. 재림하실 때 죽은 자들이 먼저 일어난다며 ‘부활함’을 설명하고, 살아 남은 자들은 변화되어 구름 속으로 끌려 올라가 공중에서 재림하신 주님을 영접하게 된다(16,17)‘라고 가르친 것입니다. 바울은 그런 주님을 믿는 것이 자기의 힘이라며, 그 믿음으로 서로 위로하라고 권면했습니다(18).

깨어 정신을 차리라는 것입니다
~ 주님이 재림하실 때에 관해서는 쓸 것이 없다면서, 아무도 모른다는 것을 강조했습니다(5:1). 이런 가르침의 이유는 불안해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가르친 것입니다. 그날이 도둑같이 임할지라도 밤이나 어둠에 속하지 아니한고로 주님을 맞게 될 일에 문제가 생길 수 없다는 것을 가르친 것입니다. 주님을 맞으려면 명심할 일입니다. 그것은 ‘깨어 있고 정신을 차리고 있어야 한다(6)’는 뜻입니다. 무슨 뜻입니까. ‘숨기려고 하거나 숨길 일’이 없이 살라는 것입니다. 누구나 실수할 수 있고, 최선을 다해서 살았어도, 다른 시대에 살게 된 사람들에게는 미숙한 판단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 ‘변명’하거나, 핑계할 필요가 없다는 뜻입니다. ‘허물을 인정하며 잘못을 인정하는 일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 삶’이 ‘깨어 있는 삶이고, 정신을 차린 삶’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려고 합니다. ‘다 보이는데 꽁꽁 숨겼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의 그런 모습은 진저리를 칠만큼 끔찍하고 징그럽습니다.

빛의 자녀로 살라는 것입니다
~ 신앙인들은 ‘빛의 아들들이요 낮의 아들(5)’이지만 사람입니다. 연약할뿐 아니라, 연약해 지는 중입니다. 그것은 몸만 그런 것이 아니라 믿음도 그럴 수 있습니다. 변질되기도 쉽습니다. 그래서 하나님 앞에서의 유익함을 분별하려는 노력들과 그 유익함을 나누려는 의지와 가르치려는 의지들이 필요합니다. 그런 삶은 도움을 통해서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서로 권면하고 서로 덕을 세워주어야 합니다(11). 그것이 교회의 역할입니다.

여러분들은 이 세상에서의 삶이 전부라고 여기십니까. 바울 사도는 소망을 품고 살아가는 자기 자신을 드러냅니다. 재림하시는 주님을 기다렸던 것입니다. 이 세상 살다가 죽게 되겠지만 부활하게 됨을 믿었던 것입니다. 세상은 이런 믿음의 사람을 당해낼 수 없습니다.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종말의 생활방식 (살전 5:12-28) 김영균 2025.09.06 0 4
다음글 하나님의 뜻 (살전 4:1-12) 김영균 2025.09.04 0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