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뜻 (살전 4:1-12) | 김영균 | 2025-09-04 | |||
|
|||||
[성경본문] 데살로니가전서4:1-12절 개역개정1. 그러므로 형제들아 우리가 끝으로 주 예수 안에서 너희에게 구하고 권면하노니 너희가 마땅히 어떻게 행하며 하나님을 기쁘시게 2. 우리가 주 예수로 말미암아 너희에게 무슨 명령으로 준 것을 너희가 아느니라 3. 하나님의 뜻은 이것이니 너희의 거룩함이라 곧 음란을 버리고 4. 각각 거룩함과 존귀함으로 자기의 아내 대할 줄을 알고 5. 하나님을 모르는 이방인과 같이 색욕을 따르지 말고 6. 이 일에 분수를 넘어서 형제를 해하지 말라 이는 우리가 너희에게 미리 말하고 증언한 것과 같이 이 모든 일에 주께서 신원하여 주심이라 7. 하나님이 우리를 부르심은 부정하게 하심이 아니요 거룩하게 하심이니 8. 그러므로 저버리는 자는 사람을 저버림이 아니요 너희에게 그의 성령을 주신 하나님을 저버림이니라 9. 형제 사랑에 관하여는 너희에게 쓸 것이 없음은 너희들 자신이 하나님의 가르치심을 받아 서로 사랑함이라 10. 너희가 온 마게도냐 모든 형제에 대하여 과연 이것을 행하도다 형제들아 권하노니 더욱 그렇게 행하고 11. 또 너희에게 명한 것 같이 조용히 자기 일을 하고 너희 손으로 일하기를 힘쓰라 12. 이는 외인에 대하여 단정히 행하고 또한 아무 궁핍함이 없게 하려 함이라 데살로니가교회는 데살로니가라는 지역 안에 있었습니다. 그러니까 하나님을 믿지 않는 사람들 속에 있었던 소수들이 성도였던 것입니다. 바울은 정글과 같은 세상이며, 세차게 흐르는 물결 속의 강물과 같은 세상이라 할지라도 세상에 동화되지 않으려면, 믿음을 지키려면 거룩해야 함을 가르쳤습니다(3). 그것은 거룩함으로 살아가는 것입니다. 본문에서 깨닫게 되는 거룩함에 대해 정리해 봅니다. 겸손하게 사는 삶입니다 ~ ‘우리에게 배웠으니(1)’라면서, 가르쳐 준대로 살면 된다고 설명합니다. 바울은 ‘마땅히 어떻게 행할 것인지’,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있는 지’를 가르쳐 주었습니다. ‘아는 삶’이 아니라 ‘사는 삶’에 대해 가르쳤던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알고 그대로 살아가는 삶’이 신앙이라는 것입니다. 문제는 교만함은 배움을 가로막습니다. 중요한 것은 지금도 바울의 이 가르침은 유효합니다. ‘배우기 위해 교회를 다니는 삶이라야 건강한 신앙인으로서의 삶이 보장된다’는 것입니다. 본인은 가르치는 자라면서 어떤 가르침도 받으려 하지 않게 되는 순간, 신앙의 생명력을 잃게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서로 사랑하며 사는 삶입니다 ~ ‘형제 사랑에 관하여는 너희에게 쓸 것이 없음은 너희들 자신이 하나님의 가르치심을 받아 서로 사랑함이라(9)’라는 말씀에서 ‘서로 서로’라는 말의 의미는 ‘어느 누구도 사랑이 필요없는 사람은 없다는 것’을 ‘전제’합니다. 그러나 이 말씀은 주님께서 가르쳐 주신 말씀에 근거해서 이해해야 됩니다. ‘무엇이든지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마7:12)’. ‘위로’받고 싶으면 누군가를 ‘위로’하라는 뜻입니다. ‘사랑’받고 싶으면 먼저, 그리고 더욱 힘써서 누군가를 사랑하라는 것입니다. 실제로 그렇게 해 보면 신기한 일들을 경험하게 됩니다. 자기 안에 있었던 아픔과 문제들이 해결됨을 경험하게 됩니다. 살다보면 ‘이 교회는 사랑이 없다’고 말하는 분들을 만나게 되는데....이상하게도 그런 분들은 사랑이 필요없을 것 같은 분들이라서 놀라게 됩니다. 성실하게 사는 삶입니다 ~ ‘조용히 자기 일을 하고 너희 손으로 일하기를 힘쓰라(11)’의 말씀은 ‘극단의 함정에 빠지지 말라’는 뜻입니다. 아마 당시에 ‘재림하실 날이 가깝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런 사람들은 ‘재림하실 예수님을 만날 준비’만 하겠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그래서 일하지 않습니다. 씨를 뿌리고, 가꾸고, 열매를 거두고 하는 일상적인 일들 모두를 헛된 짓이라고 여겨 버린 사람들이었습니다. 모든 일들은 ‘헛된 세상일’이라고 생각하는 그들에게 ‘모든 일은 우리 일’이며, 성실함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한다는 것을 가르친 것입니다. 바쁜 현대 사회에서도 몸은 떨어져 있어도 마음으로 함께 할 수 있는 방법은 많습니다. 오늘은 각자의 삶에서 하나님과의 만남과 성도들간의 만남이 차지하는 비중을 점검해 봅시다.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