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판하시는 여호와 (습 1:1-13) | 김영균 | 2025-09-10 | |||
|
|||||
[성경본문] 스바냐1:1-13절 개역개정1. 아몬의 아들 유다 왕 요시야의 시대에 스바냐에게 임한 여호와의 말씀이라 스바냐는 히스기야의 현손이요 아마랴의 증손이요 그다랴의 손자요 구시의 아들이었더라 2.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내가 땅 위에서 모든 것을 진멸하리라 3. 내가 사람과 짐승을 진멸하고 공중의 새와 바다의 고기와 거치게 하는 것과 악인들을 아울러 진멸할 것이라 내가 사람을 땅 위에서 멸절하리라 나 여호와의 말이니라 4. 내가 유다와 예루살렘의 모든 주민들 위에 손을 펴서 남아 있는 바알을 그 곳에서 멸절하며 그마림이란 이름과 및 그 제사장들을 아울러 멸절하며 5. 또 지붕에서 하늘의 뭇 별에게 경배하는 자들과 경배하며 여호와께 맹세하면서 말감을 가리켜 맹세하는 자들과 6. 여호와를 배반하고 따르지 아니한 자들과 여호와를 찾지도 아니하며 구하지도 아니한 자들을 멸절하리라 7. 주 여호와 앞에서 잠잠할지어다 이는 여호와의 날이 가까웠으므로 여호와께서 희생을 준비하고 그가 청할 자들을 구별하셨음이니라 8. 여호와의 희생의 날에 내가 방백들과 왕자들과 이방인의 옷을 입은 자들을 벌할 것이며 9. 그 날에 문턱을 뛰어넘어서 포악과 거짓을 자기 주인의 집에 채운 자들을 내가 벌하리라 10. 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그 날에 어문에서는 부르짖는 소리가, 제 이 구역에서는 울음 소리가, 작은 산들에서는 무너지는 소리가 일어나리라 11. 막데스 주민들아 너희는 슬피 울라 가나안 백성이 다 패망하고 은을 거래하는 자들이 끊어졌음이라 12. 그 때에 내가 예루살렘에서 찌꺼기 같이 가라앉아서 마음속에 스스로 이르기를 여호와께서는 복도 내리지 아니하시며 화도 내리지 아니하시리라 하는 자를 등불로 두루 찾아 벌하리니 13. 그들의 재물이 노략되며 그들의 집이 황폐할 것이라 그들이 집을 건축하나 거기에 살지 못하며 포도원을 가꾸나 그 포도주를 마시지 못하리라 본문은 요시아가 유다의 왕으로 있을 때 선지자 스바냐에게 하신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여호와께서는 심판의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심판받을 대상에 대해서 말씀하십니다. 심판의 대상은 땅 위에 있는 모든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스바냐서의 주의 날은 인간과 동물이 철저히 진멸되는 무서운 날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심판의 대상을 알려주십니다. 4-6절입니다. “4 내가 유다와 예루살렘의 모든 주민들 위에 손을 펴서 남아 있는 바알을 그 곳에서 멸절하며 그마림이란 이름과 및 그 제사장들을 아울러 멸절하며 5 또 지붕에서 하늘의 뭇 별에게 경배하는 자들과 경배하며 여호와께 맹세하면서 말감을 가리켜 맹세하는 자들과 6 여호와를 배반하고 따르지 아니한 자들과 여호와를 찾지도 아니하며 구하지도 아니한 자들을 멸절하리라”이 구절에서 심판의 장소는 유다와 예루살렘의 모든 주민이라고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왜 하나님의 백성들이 심판을 받게 되는지 생각해 보겠습니다. 우상숭배 때문입니다. 바알 숭배는 하나님의 백성들이 심판 받는 주된 이유 중에 하나 입니다. 5절은 그 당시 유다인의 영적인 상태를 잘 보여줍니다. “5 또 지붕에서 하늘의 뭇 별에게 경배하는 자들과 경배하며 여호와께 맹세하면서 말감을 가리켜 맹세하는 자들과” 이것을 보면 스바냐가 활동하던 시대의 유다인들은 여호와도 섬기면서 우상도 섬기는 영적인 혼합주의자들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여호와께서는 이런 자들을 끊어버리겠다고 하셨습니다. 유다인들에게 여호와는 유일신이 아니라 많은 신들 중에 하나였던 것입니다. 하나님의 백성이 가나안 신인 바알도 섬기고 암몬의 신인 말감(밀곰)도 섬겼던 것입니다. 그럼 여호와가 유일신이 아니라 많은 신들 중에 하나가 되어버린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리가 하나님을 섬기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우리가 하나님의 백성이며 또한 하나님의 자녀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예배하고 섬기는 이유에는 이것 말고는 없어야 합니다. 그럼 왜 유대인들은 다른 신을 섬기게 되었을까요? 그것은 마음에 큰 변화가 일어났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 관심을 두기보다는 풍요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하면 하나님을 잘 섬길 것인가를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갖게 된 것입니다. 이방인들의 신은 풍요와 번영과 관련된 신들입니다. 대표적으로 바알은 풍요의 신입니다. 하나님의 백성들의 삶의 목적이 하나님을 예배하고 섬기는 것이 아니라 잘 먹고 잘사는 것이 되어 버린 것입니다. 이런 욕심에 이끌려서 유다인들은 풍요를 준다면 바알도 섬기고 밀곰도 섬기고 여호와도 섬길 수 있는 자들이었습니다. 이들은 하나님이 주신 것으로 만족하지 못하는 자들이었습니다. 이것이 욕심입니다. 사도 바울은 이 욕심이 우상숭배라고 하였습니다. 하나님의 백성들은 하나님과 그분이 주신 것으로 만족하며 하나님을 섬기고 예배하는 것을 최우선 순위에 두어야 합니다. 하나님을 포기하면서까지 무엇인가 소유하고자 한다면 그것은 욕심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것 보다 더 많은 것을 소유하고 싶은 마음이 들 때 조심해야 합니다. 그 마음을 방치하면 하나님을 좇는 자들이 아니라 풍요를 좇는 자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결국 하나님을 섬기는 자가 아니라 풍요를 섬기는 자들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에 있는 욕심을 방치하면 “오직 하나님”만 섬기는 자들에서 “하나님도”섬기는 자들이 되어 버릴 수 있습니다. 이것이 영적인 혼합주의입니다. 영적인 혼합주의에 빠지지 않도록 탐심을 잘 다스려야 합니다. 성도의 삶의 목적은 “하나님”이어야 합니다. “소유”가 아니어야 합니다. 다음은 6절입니다. ”6 여호와를 배반하고 따르지 아니한 자들과 여호와를 찾지도 아니하며 구하지도 아니한 자들을 멸절하리라“ 여호와를 찾지도 않고 구하지도 않는다는 것은 여호와께 무관심하다는 것입니다. 유다인들이 이렇게 반응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하나님의 능력을 믿지 못하는 자들이었기 때문입니다. 이들에게 하나님은 아무것도 아닌 존재가 되어 버린 것입니다. 이들의 모습을 달리 표현하면 기도하지 않는 자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 기도한다는 것은 그분이 능력을 믿으며 우리의 도움과 피난처가 되시고 반석이 되신다는 것을 믿는다는 증거입니다. 예배는 드리지만 하나님의 능력은 믿지 않는 마음으로 예배드리고 있다면 우리는 하나님과 무관한 자들입니다. 하나님을 찾고 구하는 인격적인 관계로 회복되어야 합니다. 탐심 때문에 하나님을 배반하고 하나님을 신뢰하지 못하여 묻지도 찾지도 않는 자들이 심판의 대상이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이제는 마음을 돌이켜 오직 나의 마음에 하나님만 계시게 하며 하나님을 찾고 구하는 하나님의 백성된 삶이 되어야 합니다.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