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요시야의 개혁 (대하 34:1-13) | 김영균 | 2025-10-27 | |||
| 
 | |||||
| [성경본문] 역대하34:1-13절 개역개정1. 요시야가 왕위에 오를 때에 나이가 팔 세라 예루살렘에서 삼십일 년 동안 다스리며 2.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여 그의 조상 다윗의 길로 걸으며 좌우로 치우치지 아니하고 3. 아직도 어렸을 때 곧 왕위에 있은 지 팔 년에 그의 조상 다윗의 하나님을 비로소 찾고 제십이년에 유다와 예루살렘을 비로소 정결하게 하여 그 산당들과 아세라 목상들과 아로새긴 우상들과 부어 만든 우상들을 제거하여 버리매 4. 무리가 왕 앞에서 바알의 제단들을 헐었으며 왕이 또 그 제단 위에 높이 달린 태양상들을 찍고 또 아세라 목상들과 아로새긴 우상들과 부어 만든 우상들을 빻아 가루를 만들어 제사하던 자들의 무덤에 뿌리고 5. 제사장들의 뼈를 제단 위에서 불살라 유다와 예루살렘을 정결하게 하였으며 6. 또 므낫세와 에브라임과 시므온과 납달리까지 사면 황폐한 성읍들에도 그렇게 행하여 7. 제단들을 허물며 아세라 목상들과 아로새긴 우상들을 빻아 가루를 만들며 온 이스라엘 땅에 있는 모든 태양상을 찍고 예루살렘으로 돌아왔더라 8. 요시야가 왕위에 있은 지 열여덟째 해에 그 땅과 성전을 정결하게 하기를 마치고 그의 하나님 여호와의 전을 수리하려 하여 아살 9. 그들이 대제사장 힐기야에게 나아가 전에 하나님의 전에 헌금한 돈을 그에게 주니 이 돈은 문을 지키는 레위 사람들이 므낫세와 에브라임과 남아 있는 모든 이스라엘 사람과 온 유다와 베냐민과 예루살렘 주민들에게서 거둔 것이라 10. 그 돈을 여호와의 전 공사를 감독하는 자들의 손에 넘기니 그들이 여호와의 전에 있는 일꾼들에게 주어 그 전을 수리하게 하되 11. 곧 목수들과 건축하는 자들에게 주어 다듬은 돌과 연접하는 나무를 사며 유다 왕들이 헐어버린 성전들을 위하여 들보를 만들게 하매 12. 그 사람들이 성실하게 그 일을 하니라 그의 감독들은 레위 사람들 곧 므라리 자손 중 야핫과 오바댜요 그핫 자손들 중 스가랴와 무술람이라 다 그 일을 감독하고 또 악기에 익숙한 레위 사람들이 함께 하였으며 13. 그들은 또 목도꾼을 감독하며 모든 공사 담당자를 감독하고 어떤 레위 사람은 서기와 관리와 문지기가 되었더라 팔 세에 왕이 된 요시아왕은 삼십일 년 동안 나라를 다스렸습니다. 이 나라를 한 마디로 정리한다면 ‘든든하게 세워지는 나라’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팔 세의 왕을 보호하고 양육하는 주변의 사람들이 건강했습니다. 비록 그들의 이름은 기록되지 않았으나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며 그의 조상 다윗의 길로 걸으며 좌우로 치우치지 아니하도록(1)’ 살아가는 요아스왕의 모습은 함께 하는 사람들이 어떠했던가를 보여줍니다. 요시야는 차근차근 개혁합니다. 어떻게 개혁했습니까. 하나님을 찾았습니다 ~ 왕이 된지 팔 년이 지난 열여섯 살에 ‘비로서 하나님을 찾고(3)’라는 말씀은 ‘인격적으로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고백’했던 것입니다. ‘하나님을 찾았다’는 것은 중심을 세우는 일이었습니다. 모든 삶의 중심을 하나님이라고 선언한 것입니다. 우상을 제거했습니다 ~ ‘무리가 왕 앞에서 바알의 제단들을 헐었으며(4)’에서 ‘무리들’은 누구였습니까. 우상을 섬기던 사람들이었습니다. 우상을 만들던 사람들도 ‘무리’였을 것입니다. 그런 그들이 자기들의 삶을 개혁했던 것입니다. 목표와 목적이 아무리 좋아도 그것을 이루는 행위가 없으면 그림의 떡일 수박에 없습니다. 혹은 변명하거나 핑계를 대면서 미온적이거나 방해를 한다면...목표를 이루기도 전에 지쳐버려 중단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요아스왕의 시대는 모든 사람들이 자기를 개혁했습니다. 자기에게 익숙해진 우상을 따르던 삶을 정리하기로 결단하고 실행했던 것입니다. 성전을 수리했습니다 ~ 성전에 있던 우상들과 제단들을 없애 버리는 등으로 성전은 성결하게 되었으나 성전의 역할을 감당하기에는 부족했습니다. 그래서 성전을 수리하게 된 것입니다(8절). 성전을 수리하기 위해서 헌금한 것을 모아 두었었는데, 그것을 실무자들에게 넘겨 주니(9절), 맡은 자들이 성실하게 성전을 수리하게 되었습니다(12). 언제나 하나님에게 제사(예배)를 드릴 수 있게 했던 것입니다. 요시야왕은 차근차근, 하나하나 개혁했습니다. 그 결과 세상은 거룩해졌습니다. 하나님을 믿는 세상이 되어간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왕을 비롯한 모든 사람들의 목표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었습니다. |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