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죽음이 슬픔인 사람 (대하 35:20-27) | 김영균 | 2025-10-30 | |||
| 
 | |||||
| [성경본문] 역대하35:20-27절 개역개정20. 이 모든 일 후 곧 요시야가 성전을 정돈하기를 마친 후에 애굽 왕 느고가 유브라데 강 가의 갈그미스를 치러 올라왔으므로 요시야 21. 느고가 요시야에게 사신을 보내어 이르되 유다 왕이여 내가 그대와 무슨 관계가 있느냐 내가 오늘 그대를 치려는 것이 아니요 나와 더불어 싸우는 족속을 치려는 것이라 하나님이 나에게 명령하사 속히 하라 하셨은즉 하나님이 나와 함께 계시니 그대는 하나님을 거스르지 말라 그대를 멸하실까 하노라 하나 22. 요시야가 몸을 돌이켜 떠나기를 싫어하고 오히려 변장하고 그와 싸우고자 하여 하나님의 입에서 나온 느고의 말을 듣지 아니하고 므깃도 골짜기에 이르러 싸울 때에 23. 활 쏘는 자가 요시야 왕을 쏜지라 왕이 그의 신하들에게 이르되 내가 중상을 입었으니 나를 도와 나가게 하라 24. 그 부하들이 그를 병거에서 내리게 하고 그의 버금 병거에 태워 예루살렘에 이른 후에 그가 죽으니 그의 조상들의 묘실에 장사되니라 온 유다와 예루살렘 사람들이 요시야를 슬퍼하고 25. 예레미야는 그를 위하여 애가를 지었으며 모든 노래하는 남자들과 여자들은 요시야를 슬피 노래하니 이스라엘에 규례가 되어 오늘까지 이르렀으며 그 가사는 애가 중에 기록되었더라 26. 요시야의 남은 사적과 여호와의 율법에 기록된 대로 행한 모든 선한 일과 27. 그의 처음부터 끝까지의 행적은 이스라엘과 유다 열왕기에 기록되니라 요시야왕의 죽음은 너무 아쉽습니다. 모든 사람들이 진심으로 슬퍼했습니다. 애굽과 갈그미스와 전쟁이 벌어졌습니다(20절). 애굽은 유다의 남쪽에 있었고 갈그미스는 북쪽에 있었습니다. 두 개의 나라의 중간쯤에 유다가 있었던 것입니다. 남쪽의 애굽이 올라왔습니다. 그 애급을 막다가 화살에 맞아 죽었습니다. 그 요시야왕의 죽음이 슬픔이 된 이유들은 무엇입니까. 바르게 살았었기 때문입니다 ~ 바로왕 느고도 요시야왕의 삶은 하니님의 뜻을 따라 산다는 것을 인정할 정도였습니다. 그래서 요시야왕에게 이 전쟁에서 물러서도록 ‘하나님의 뜻(21)’이라며 설득했습니다. 애굽왕 느고가 사신을 보내서 갈그미스와의 전쟁이란 것을 알렸습니다(21절). 애굽왕 느고가 인정할만큼 믿음으로 살았습니다. 선한 영향력을 남겼기 때문입니다 ~ 요시야왕은 변장을 했지만 므깃도 골짜기에서 활에 맞았습니다(23). 요시야왕은 ‘변장’했습니다(22절). 하지만 돌이키지 않았습니다. 그는 화살의 표적이 되었고 결국에는 죽음을 피할 수 없었던 것입니다(23절). 화살에 맞은 요시야왕은 ‘내가 중상을 입었으니 나를 도와 나가게 하라(23절)’며 후퇴했습니다. 예루살렘으로 옮겨졌으나 죽었습니다(24). 그 죽음은 모든 사람들의 슬픔이었고(24), 예레미야 선지자도 애가를 지어 슬퍼했습니다(25). 요시야왕이 남긴 것은 권력이 아니라 신앙이었습니다. 하나님의 마음과 연결된 사람이었기 때문입니다 ~ 요시야에 대해서 ‘여호와의 율법에 기록된 대로 행한 모든 선한 일과 처음부터 끝까지의 행적이 열왕기에 기록(26,27)’되었다는 것은 ‘하나님의 마음과 연결된 사람’이란 뜻입니다. 당사자들끼리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데, 여기 저기 도움을 요청하게 됨으로 패(떼) 싸움이 될 때가 있습니다. 인연(의리) 때문에, 문제가 일어나게 되면 서로 돕기로 언약한 것 때문에, 혹은 의협심으로 끼어들게 될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당신이 끼어 들면 곤란하겠다, 끼어들지 말라’는 말을 듣게 되면 조금 떨어져서 그 말이 맞는지 확인하는 것이 옳습니다. 그리고 삶의 유연성은 정말 중요합니다. 세상은 직선 도로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멈출 줄 아는 삶과 돌이킬 수 있는 삶은 지혜 중의 지혜라는 것을 확신해야 합니다. 또 용기가 있어야 멈출 수 있고 돌이킬 수 있습니다. | |||||
댓글 0